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식품 정보

(근거) 모과, 모과차 효능과 부작용

by 힐리피디아 2024. 4. 15.
반응형

 

  모과?

 

목과(木果)에서  'ㄱ'이 탈락하여 모과로

쓰여지는 열매입니다.

 

노랗고 울퉁불퉁하게 생긴 열매지만

좋은 향이 강하고 감기에 좋아

방향제나 약재, 차로 마셔왔습니다.

 

 

 

 

 ▤ 모과 영양성분

 

모과의 영양성분중 눈 여겨볼만한 것은

역시 비타민C입니다.

 

비타민C가 높다는 오렌지도 100g당 일권장량

50% 정도인데 모과는 81%로 어마어마한

함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는 각 과일 100g당 비타민C

일일 권장 섭취량 대비 %를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 모과 효능

 

모과의 효능

  • 감기, 기관지염
  • 항산화(피부 건강)
  • 콜레스테롤 감소
  • 혈당 감소
  • 간,신장 건강

 

 

▶ 감기, 기관지염

모과차는 특히 감기나 기관지염이 있을때

자주 먹어왔습니다.

실제 연구에서도 감기(인플루엔자)와 항염증에

효과가 나타납니다.

 

모과 추출물은 A,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합성을 억제하여 증식을 억제하였고,

또 다른 연구에서도 모과는 바이러스의

결합, 응집, 활성을 70% 감소시켰습니다.

 

또 모과의 항산화 성분들이 항염증 작용을

합니다.

 

 

관련 근거 논문 [더보기]

더보기

-J Ethnopharmacol. 2008 Jun 19;118(1):108-12

-J Ethnopharmacol. 2013 Apr 19;146(3):866-72

-Front Biosci (Landmark Ed). 2023 Dec 1;28(12):326.

-Nat Prod Sci. 2022 Mar;28(1):1-5.

 

 

▶ 항산화, 피부건강

모과에는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의 함량이

47mg/g으로 나타났고, 폴리페놀 중에서도

항산화 능력이 강한 카테킨(에피카테킨),

프로시아니딘들이 겁출되었습니다.

 

실제 활성산소 소거 연구에서도 강력한 효과를

보였습니다.

 

피부의 구성요소인 엘라스틴과 콜라겐은

노화가 진행되면서 분해되는데

모과의 추출물은 이 분해를 억제하였습니다.

 

 

관련 근거 논문은 아래 [더보기]

더보기

-Cosmetics 2019, 6(1), 21

-Food Chem. 2013 Dec 15;141(4):4260-8

 

 

▶ 콜레스테롤 감소

정상 실험쥐, 고지방식 실험쥐, 당뇨쥐에

모과 추출물을 투여한 연구입니다.

 

모든 그룹에서 체중과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모과를 먹은 고지방식 실험쥐와

모과를 먹지 않은 고지방식 실험쥐 사이에는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체중이 크게 차이가

있었습니다.

 

 

관련 근거 논문 [더보기]

더보기

-July 2010European Food Research and Technology 231(3):415-421

-Exp Toxicol Pathol. 2013 Jan;65(1-2):55-60.

-Nutr Res. 2024 Mar:123:111-119

 

 

▶ 혈당 감소

여러 당뇨 실험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2주 동안의 모과추출물의 경구 투여는

혈당, 공복 혈당을 감소시켰으며,

 

항산화 수준을 증가시키고

글리코겐의 합성을 촉진시켰습니다.

 

 

관련 근거 논문 [더보기]

더보기

-July 2010European Food Research and Technology 231(3):415-421

-Exp Toxicol Pathol. 2013 Jan;65(1-2):55-60.

 

 

▶ 간, 신장 건강

통풍의 의학적 명칭은 고요산혈증입니다.

혈액에 요산이 쌓여 농도가 높아진 것을

뜻하는데요,

 

이런 고요산혈증을 가진 쥐에게 모과를

섭취시킨 결과 요산 배출량이 많아지고

신장 손상의 회복을 보였으며,

 

그로 인해서 요산의 농도가 감소하였고

혈중 요소질소와 크레아티닌도 감소시켰습니다.

 

 

간 손상이 있어 간의 효소가 혈액으로 흘러나온

실험쥐들에게 모과의 투여는 혈액 속 간효소를

감소시켜 간의 회복을 암시하였습니다.

 

14주 동안 고지방 실험쥐에게 모과의 투여는

지방증을 크게 감소시켰습니다.

 

 

관련 근거 논문 [더보기]

더보기

-Nutr Res. 2024 Mar:123:111-119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06, Vol.35(10), p.1336-1342

-June 2012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5(3)

-September 2018 Food & Function 9(11)

 

 

 

 ▤   부작용

 

▶ 씨앗의 섭취를 피하세요.

모과의 씨앗에는 독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